아래 글은 한국 스프링 사용자 모임(KSUG)에서 진행된 스프링 배치 스터디 내용을 정리한 게시글입니다.DEVOCEAN에 연재 중인 KIDO님의 글을 참고하여 실습한 내용을 기록했습니다. 원본: [SpringBatch 연재 07] MyBatisPagingItemReader로 DB내용을 읽고, MyBatisItemWriter로 DB에 쓰기 [SpringBatch 연재 07] MyBatisPagingItemReader로 DB내용을 읽고, MyBatisItemWriter로 DB에 쓰기 devocean.sk.com MyBatis는 자바 기반의 SQL 매퍼 프레임워크로,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주로 SQL 문을 직접 작성하고 이를 자바 코드와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JPA,..
6회차는 Spring Batch의 JpaItemReaderWriter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스터디 진행 전 교안을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은 이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6회차] JpaPagingItemReader로 DB내용을 읽고, JpaItemWriter로 DB에 쓰기아래 글은 한국 스프링 사용자 모임(KSUG)에서 진행된 스프링 배치 스터디 내용을 정리한 게시글입니다.DEVOCEAN에 연재 중인 KIDO님의 글을 참고하여 실습한 내용을 기록했습니다. 원본: [SpringBatchyeseul-dev.tistory.com 1. JPA를 사용한 Batch 처리 중 예외와 데이터 무결성 문제Spring Batch와 JPA를 활용한 Batch 처리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외 발생 시 데이..
도메인 주도 설계에 관심이 있어서 [NHN FORWARD 22] DDD 뭣이 중헌디? 🧐 를 보았는데,해당 영상만 보고는 쉽게 이해가 가지 않아 여러 영상들과 글들을 참고 해서 얕게나마 정리 해보았습니다. 정리 해두고 다음에 다시 보고 더 정리 해 봐야겠습니다. DDD (Domain-Driven Design)도메인이란 무엇인가?먼저, 도메인이란 특정 정보와 활동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프로그래머에게 도메인은 애플리케이션의 로직이 관여하는 정보와 활동의 영역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회원"이라는 도메인에서는 회원 가입, 탈퇴와 같은 회원과 관련된 일련의 작업들이 포함됩니다. 또한, "도메인 레이어"와 "도메인 로직"이라는 용어는 비즈니스 로직과 동일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집니다. 이 비즈니스 로..
아래 글은 한국 스프링 사용자 모임(KSUG)에서 진행된 스프링 배치 스터디 내용을 정리한 게시글입니다.DEVOCEAN에 연재 중인 KIDO님의 글을 참고하여 실습한 내용을 기록했습니다. 원본: [SpringBatch 연재 06] JpaPagingItemReader로 DB내용을 읽고, JpaItemWriter로 DB에 쓰기 [SpringBatch 연재 06] JpaPagingItemReader로 DB내용을 읽고, JpaItemWriter로 DB에 쓰기 devocean.sk.com 지난 시간에는 JdbcPagingItemReader/Writer에 대해 배웠습니다.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전, 두 클래스가 조금 헷갈려서 정리를 먼저 하고 진행하였습니다. JdbcPagingItemReader와 JpaPagingIt..
5회차는 Spring Batch의 JdbcPagingItemReader/JdbcBatchItemWriter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스터디 진행 전 교안을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은 이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5회차] JdbcPagingItemReader로 DB내용을 읽고, JdbcBatchItemWriter로 DB에 쓰기아래 글은 한국 스프링 사용자 모임(KSUG)에서 진행된 스프링 배치 스터디 내용을 정리한 게시글입니다.DEVOCEAN에 연재 중인 KIDO님의 글을 참고하여 실습한 내용을 기록했습니다. [SpringBatch 연재yeseul-dev.tistory.com 이번 스터디 시간에는 주로 Paging과 Cursor의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스터디에 참여하신 김XX님께서..
CORS(Cross-Origin-Resource-Sharing)란?서로 다른 출처(Origin)에서 리소스를 공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URL의 구조URL은 다음과 같은 6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https://www.domain.com:8080/member?query=name&page=1#firsthttps:// www.domain.com :8080 /member ?query=name&page=1 #firstProtocol: https://Host: www.domain.comPort: :8080Path: /memberQuery string: ?query=name&page=1Fragment: #first여기서 Protocol, Host, Port 부분이 Origin(출처)입니다. CORS 설정이 되어 있지 ..